창녕 조씨 항렬표 (돌림자) : 감사공파,낭장공파,대사헌공파,대호군공파,만호공파 등
- 일상생활/우리나라 성씨 항렬
- 2022. 9. 20. 13:48
창녕 조씨 항렬표 (돌림자) 에 대해 알아봐요
조씨는 창녕 조씨가 단일본이며, 분파는 약 49여 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중간에 분가하여 본관을 달리하는 여러 조씨가 존재하지만 그 수도 많지 않고 뿌리가 같으므로 단일본으로 보고 있습니다.
-
감사공파(監司公派)
-
낭장공파(郎將公派)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
만호공파(萬戶公派)
-
문익공파(文翊公派)
-
문장공파(文莊公派)
-
문정공파(文貞公派)
-
문간공파(文簡公派)
-
목사공파(牧使公派)
-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
-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
부위공파(副尉公派)
-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
병사공파(兵使公派)
-
부사공파(府使公派)
-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
시직공파(侍直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사의공파(司議公派)
-
사성공파(司成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
사직공파(司直公派)
-
송학공파(松鶴公派)
-
수찬공파(修撰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시중공파(侍中公派)
-
양평공파(襄平公派)
-
지평공파(持平公派)
-
직장공파(直長公派)
-
장양공파(壯襄公派)
-
좌시중공파(左侍中公派)
-
중추공파(中樞公派)
-
지중추공파(知中樞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찬성공파(贊成公派)
-
청구당공파(靑邱堂公派)
-
창산군파(昌山君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
충간공파(忠簡公派)
-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충정공파(忠貞公派)
-
충익공파(忠翼公派)
-
취원당파(聚遠堂派)
-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
-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
-
판윤공파(判尹公派)
-
헌납공파(獻納公派)
-
현감공파(縣監公派)
-
희천공파(熙川公派)
-
효강공파(孝康公派)
창녕 조씨의 항렬표(돌림자)는 근래에 재정립된 것으로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각분파에서 독립적인 항렬자를 제정하여 사용하다가 갑술대동보(1880)를 발간에 맞춰 전국의 종친들이 한데 모여 각 파에서 사용하는 항렬을 통일하여 대동항렬표를 제정하였다고 합니다.
고려 중기의 인물로 추정 삼송 형제(송무松茂, 송군松君, 송학松鶴)를 1세로 하여 세대수를 초기화하고 그 22세손을 승(承) 자로, 23세손을 병(秉), 24세손을 환(煥) 자로 정한 후 그 이후 세대부터 각 항렬별로 세 자 씩의 돌림자를 정했습니다.
돌림자의 원칙은 오행(五行)인 목화토금수를 부수로 하는 글자로 정했고 같은 이름이 많아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세대당 세자씩의 돌림자를 정했다고 합니다.
오늘날의 창녕 조씨 항렬이 대개 24~ 26세인 이유도 앞서 말했듯이 고려중기를 1세대로 세대수를 재정립 하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실제 역사보다 세대수가 짧아보이는 이유입니다.
이렇게 한번 세대수를 재정립 하였으나 조선시대와 근대사회를 거치며 각 문중의 파보(족보)에서 제시하던 항렬에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2017년 창녕조씨 대종회에서 다시한번 새롭게 표준 항렬표(돌림자)를 확정하였다고 합니다.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承(승) | 秉(병)◯ | ◯煥(환) | 圭(규)◯, 喜(희)◯, 基(기)◯ | ◯鉉(현), ◯鎬(호), ◯鐘(종) | 永(영)◯, 海(해)◯, 洙(수)◯ | ◯根(근), ◯植(식), ◯穆(목) | 容(용)◯, 炯(형)◯, 然(연)◯ | ◯載(재), ◯坤(곤), ◯塤(훈) | 鎰(일)◯, 鍵(건)◯, 鏞(용)◯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泰(태), ◯淳(순), ◯淵(연) | 東(동)◯, 相(상)◯, 英(영)◯ | ◯燮(섭), ◯烈(열), ◯杰(걸) | 均(균)◯, 重(중)◯, 垣(원)◯ | ◯鎔(용), ◯鎭(진), ◯錫(석) | 潤(윤)◯, 準(준)◯, 汶(문)◯ | ◯稷(직), ◯栢(백), ◯杓(표) | 熙(희)◯, 煐(영)◯, 螢(형)◯ | ◯堉(육), ◯墩(돈), ◯培(배) | 鐫(전)◯, 銓(전)◯, 鑽(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