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심씨 항렬표(돌림자) : 동지중추공파, 인수부윤공파, 진사공파, 사간공파, 감사공파, 효창공파, 곡산공파, 경파, 향파 청송심씨는 크게 경파와 향파로 나뉘는데 시조인 심홍부의 4세손인 심덕부의 후손들이 경파에 해당되며 심덕부의 아들 7형제에서 도총제공파(都摠制公派)·판사공파(判事公派)·성주지사공파(成州知事公派)·인수부윤공파(仁壽府尹公派)·안효공파(安孝公派)·청원군파(靑原君派)·동지총공파(同知摠公派)의 7파로 또다시 갈라 집니다. 향파의 경우 심덕부의 아우인 심원부의 후손들이 해당되며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벼슬을 거부하고 두문동에서 삶을 마감한 심원부의 유훈을 기려 대대해 조정으로의 출사를 멀리 하였습니다. 결국 향파의 세보다는 경파가 청송 심씨의 주류를 이루며 그중에서도 심덕부의 넷째와 다섯째 아들..
동래 정씨 항렬표(돌림자) : 보파, 필파, 선조파, 전서공파, 현령공파, 동평군파, 기우자공파,문경공파, 참의공파, 평리공파, 회은공파, 장령공파, 호군공파, 동지공파 등 6세 교서랑공 보파 6세 첨사공 필파 3세 호장공 선조파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 휘(諱) 보(輔 6세) 전서공파(典書公派) 휘(諱) 규(規 12세) 정랑공(正郞公) 휘(諱) 길흥(吉興 13세) 청송공(靑松公) 휘(諱) 자당(子堂 15세) 생원공(生員公) 휘(諱) 길상(吉詳 13세) 현감공(縣監公) 휘(諱) 길명(吉明 13세) 설학재공파(雪壑齋公派) 휘(諱) 구(矩 12세) 현령공(縣令公) 휘(諱) 효경(孝卿: 13세) 휘(諱) 수(穗 14세) 직장공파(直長公派) 휘(諱) 인호(仁豪 15세) 정랑공(正郞公) 휘(諱) 인복(仁福 19세)..
안동 김씨 항렬표(돌림자) : 밀직사공파, 개성윤공파, 군사공파, 문온공파, 전서공파, 부사공파, 안정공파, 도평의공파, 대호군공파, 판삼사공파, 제학공파, 익원공파, 안렴사공파, 서운관정공파, 정의공파 안동 김씨는 크게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는 구 안동김씨 와 고려 개국 공신인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는 신 안동김씨로 나뉠 수 있습니다. 흔히 주변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안동 김씨의 경우 대부분은 구 안동김씨에 해당하며 조선 시대 말에 세도정치로 유명했던 안동 김씨는 신안동김씨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신 안동김씨의 경우에는 18세기에도 몇천명이 안되는 소수의 가문이었으며 세도정치가 한창일때나 그 이후 일제시대와 근대를 거치면서도 세도정치의 영향때문에 족보가 없던 ..
풍양 조씨 항렬표(돌림자) : 전직공계, 호군공파, 회양공파, 금주공파, 평장사공파, 남원공파, 상장군공파 풍양조씨의 경우 시조인 조맹 이후의 계대가 소실되어 각 계파에서 확인이 가능한 선조를 1세로 모시고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합니다. 각 계파는 중시조 이전의 계대가 불분명해 계파간의 항렬을 따질 수 없으므로 아직도 각분파만의 독자적인 항렬표(돌림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풍양조씨의 분파는 크게 3개의 계대로 이어져 오는데 그중 전직공계는 3개파로 나뉘게 되므로 5개의 분파로 이어져 오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직공계(殿直公系) 고려 중기 천화사전직(天和寺殿直)을 지낸 전직공(殿直公) 조지린(趙之藺)을 1세로 삼고 있다. 이후 전직공의 6세손인 대언공 조염휘의 자손대에 이르러 3개파로 계파가 더..
평산 신씨 항렬표(돌림자) : 문희공파, 사간공파, 밀직공파, 장령공파, 현령공파, 정언공파, 한성윤공파, 온수감공파, 제정공파, 참판공파 등 평산신씨 분파는 19개파로 나뉘어져 있는데 2세부터 14세손까지 분파없이 계대가 이어져 오다 15세손에서 19파로 나뉘어져 계대가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합니다. 12세 신중명(申仲明) 13세 신집(申諿) 14세 신익지 15세 신아 → 밀직공파(密直公派) 14세 신이 15세 신정도 → 봉상윤공파(奉常尹公派) 15세 신정리 → 장령공파(掌令公派) 14세 신안(申晏) 15세 신감 → 현령공파(縣令公派) 15세 신개(申槩) → 문희공파(文僖公派) 15세 신효(申曉) → 정언공파(正言公派) 13세 신군평(申君平) 14세 신규(申珪) 15세 신하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1..
김해 김씨 항렬표(돌림자) : 경파, 사군파, 삼현파, 판서공파, 부호군공파,승사랑공파, 양의공파, 첨정공파, 운은공파, 도사공파 등 경파(금녕군파) 사군파(감무공파) 삼현파(판도판서공파) 참판공파 횡성공파 안경공파 석성공파 참찬공파 봉상공파 호참공파 밀직사공파 문간공파 밀직공파 평장사공파 생원공파 도총관공파 생원공파 찬성공파 상서공파 공간공파 군수공파 집의공파 한림공파 진사공파 녹사공파 진의공파 가락국(가야)의 초대 국왕인 김수로(金首露)를 시조로 하는 대한민국의 성씨로 전체 김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역사가 매우 긴 성씨인만큼 분파는 약 142개파가 존재한다고 하며 그중에서는 김유신계의 직계인 경파(금녕군파), 사군파(감무공파) 삼현파(판도판서공파) 의 3개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경주 이씨 항렬표(돌림자) : 평리성암공파, 익재공파, 국당공파, 상서공파 등 경주 이씨의 14개 분파는 평리성암공파, 이암공파, 익재공파, 호군공파, 국당공파, 부정공파, 상서공파, 사인공파, 판전공파, 월성군파, 직장공파), 석탄공파, 진사공파, 교감공파입니다. 이중 가장 많은 세거를 자랑하는 분파는 익재공파, 국당공파, 상서공파이며 이들이 경주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榮 영화영 圭○ 홀규 鍾○ 쇠북종 ○雨 비우 相○ 서로상 ○熙ㆍ炯 빛날희 빛날형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在○ 있을재 ○鎬ㆍ鍵 빛날호 자물쇠건 濟ㆍ濬○ 건널제 깊을준 ○東 동녘동 丙ㆍ心○ 남쪽병 마음심 ○敎ㆍ世 가르칠교 인간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
수원 백씨 항렬표(돌림자) : 선전공파, 인주공파, 오산군파, 장단공파, 문간공파, 이재공계, 쌍계공계 등 백씨 대동보에서는 수원 백씨의 시조 백우경이 중국 당나라 소주 출신으로 첨의사와 이부 상서의 벼슬을 지냈으나 간신들의 모함을 받고 당나라를 떠나 신라로 건너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의 계대가 불분명하여 신라 경덕왕 시절 중랑장을 지내고 상장군에 증직된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받들고 1세조로 했다. 백씨의 29개 분파 선정공파 (禪亭公派) 파조는 인관(仁寬)인데 중시조 창직(昌稷)의 7대손 원태(元泰)의 증손이며 천뢰(天賚)의 손자다. 인주공파 (仁州公派) 파조는 역(繹)이며 유신(裕臣)의 아들인 진양(眞陽)의 6대손이다. 오산군파 (鰲山君派) 파조는 계영(桂英)인데 간미(簡美)의 둘째 아들 양신..
청주 한씨 항렬표(돌림자) : 대동항렬, 충성공파, 이양공파, 참판공파, 문양공파, 문정공파 등 청주한씨는 크게 35계파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충성공파(忠成公派) 이양공파(夷襄公派) 참판공파(叅判公派) 문양공파(文襄公派) 문정공파(文靖公派) 양평공파(襄平公派) 찬성공파(贊成公派) 절제공파(節制公派) 안양공파(安襄公派) 첨지공파(僉知公派) 절도공파(節度公派) 이랑공파(吏郞公派) 양이공파(襄夷公派) 판사공파(判事公派) 정당공파(政堂公派) 양혜공파(襄惠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봉익공파(奉翊公派) 공안공파(恭安公派) 장도공파(章悼公派) 장간공파(莊簡公派) 참의공파(叅議公派) 첨정공파(僉正公派) 질경공파(質景公派) 회양공파(淮陽公派) 충정공파(忠靖公派) 정혜공파(正惠公派)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전교공파(典校公..
안동 권씨 항렬표(돌림자) : 수중공파, 검교공파,광석공파,군기감공파,동정공파,별장공파,복야공파,시중공파 등 분파 검교공파(檢校公派) : 고려 검교대장군을 지낸 권척을 파조로 한다. 광석공파(廣石公派) : 권대의를 파조로 한다. 군기감공파(軍器監公派) : 군기감을 지낸 권사발을 파조로 한다. 동정공파(同正公派) : 고려 호장동정을 지낸 권체달을 파조로 한다. 별장공파(別將公派) : 고려 별장을 지낸 권영정을 파조로 한다. 복야공파(僕射公派) : 고려 상서좌복야 상장군을 지낸 권수홍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고려 식록부정을 지낸 권통의를 파조로 한다. 부호장공파(副戶長公派) : 고려 때 부호장을 지낸 권시중을 파조로 한다. 수중공파(守中公派)(종파) : 권수중을 파조로 한다. 시중공파(侍中公..
성주 이씨 항렬표(돌림자) : 밀직공파, 참지공파, 시중공파, 유수공파, 문열공파 경상북도 성주군을 본관으로 시조는 이순유(李純由)로 문성왕때 이부상서를 경순왕조에 재상까지 올랐으며 신라 멸망 후 성주에 은거해 자손이 퍼져나갔다. 이후 11세손 이장경(李長庚)의 슬하에 다섯 아들 이백년(李百年), 이천년(李千年), 이만년(李萬年), 이억년(李億年), 이조년(李兆年) 이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각각 밀직사사, 참지정사, 문하시중, 개성유수, 정당문학에 임명되자 조정으로부터 삼중대광(三重大匡) 좌시중(左侍中) 흥안 부원군(興安 府院君) 도첨의 정승(都僉議 政丞) 에 제수되어 문중을 크게 일으켰으므로 후세들이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분파는 크게 다음과 같으며 이중 밀직공파를 백파 나머지 4개파를 중계파로 분류한..
광산김씨 항렬표(돌림자) : 문정공파, 양간공파, 문숙공파, 낭장동정공파, 광절공파(사온직장공파) 광산 김씨는 크게 '문정공파', '문숙공파', '양간공파', '낭장동정공파', '광절공파(사온직장공파)' 5파와 그 지류에 수많은 분파로 분류한다. 양간공파 후손들이 70%로 제일 많고 현달한 인물을 많이 배출하였다. 문정공파 14세 태현(台鉉)을 파조로 하고 의랑공파(15세 광식(光軾), 문민공파(15세 광철(光轍), 문간공파(15세 광재(光載), 녹사공파(15세 광로(光輅) 4개파로 분파 되어 있다. 문숙공파 13세 주정(周鼎)을 파조로 하고 충숙공파(14세 심(深))와 시중공파(14세 유(流)로 분류되며, 충숙공파는 화평부원군공파(15세 석견(石堅), 삼사좌사공파(15세 승사(承嗣), 상호군공파(15세..
창녕 조씨 항렬표 (돌림자) 에 대해 알아봐요 조씨는 창녕 조씨가 단일본이며, 분파는 약 49여 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중간에 분가하여 본관을 달리하는 여러 조씨가 존재하지만 그 수도 많지 않고 뿌리가 같으므로 단일본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사공파(監司公派) 낭장공파(郎將公派)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만호공파(萬戶公派) 문익공파(文翊公派) 문장공파(文莊公派) 문정공파(文貞公派) 문간공파(文簡公派) 목사공파(牧使公派)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부위공파(副尉公派)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병사공파(兵使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시직공파(侍直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사의공파(司議公派) 사성공파(司成公派) 사정공파(司正..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